무돌 2 P2E 게임 무돌 조각 , MUDOL2 토큰 수익화 과정
작년에 한국 최초의 P2E 게임인 격으로 나온 무돌 / 무한돌파 삼국지. 토큰이나 NFT를 통한 초기 투자 없이 EARN을 만들 수 있는 게임이어서 빠른 속도로 바이럴 됐었다. 나트 리스가 만든 캐주얼 게임으로 게임 진행 역시 간단하고 수익화하는 방법도 클레이 스왑 , 클립을 쓰면 간단했다. 어떤 마케팅 프로모션이 돋보이지 않았는데도 21년 연말에 구글 플레이스토어 / 애플 앱스토어 양쪽에서 1위를 먹어버린다. 그러나 게임물관리위원회가 12월에 등급분류 허가 결정을 취소하며 P2E 규제 강국 대한민국에서 서비스할 수 없게 되어 서비스가 중단돼버린다. 나트 리스는 이대로 무돌 프로젝트를 접지 않았고, 행정처분 규제를 준수하며 토크 노믹스 정비까지 맞춰서 무한돌파 삼국지 2를 계획했고, 무돌 2 아시아 사전예약에서 50만 명을 모으는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이번에 론칭하게 되었다. 한번 규제에 걸렸던 경험을 살려서 나트 리스는 게임 내에서 토큰으로 결제하거나 교환하는 방식을 만들지 않았다. 대신 '무돌 조각'이라는 중간 매개체를 사용하여 유저가 EARN을 할 수 있게 만들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교환 서비스를 만들어 별도로 운영한다. 이 시점에만 VPN을 쓴다면 큰 문제없을듯하다. 무돌은 나름 전성기에 일일 사용자 20만 명을 찍는 등 P2E 메타 한가운데서 크게 붐업됐었음. 여기에 기존 유저들 병합 + 후오비와 MEXC 2곳의 CEX 상장까지 만들고 시작해서 출발선이 괜찮아 보인다. 가장 큰 단점으로 여겨지던 '클레이튼'체인도 BSC 바이낸스 체인으로 옮겨서 글로벌 유저들 타기팅에 용이해졌다. 그리고 기존에 간단 모바일 게임에 클립 지갑 연동 정도의 메커니즘이던 무돌 1에서 좀 더 크립토 게임스럽게 구조가 바뀌었다. 먼저 무돌 조각 / $MUDOL2 토큰 / vMUDOL 토큰 락업 / 스테이 커 조각 분배 / 거버넌스 등 다양한 토크 노믹스 요소들이 생겼음. 인플레이션 방지 목적이 큰데 이 요소들 사이에서 게임의 수익성이 나올 것 같다.
무돌 2 벡커 라인업
엑시나 스테픈같은 NFT 게임과 다르게 초기 투자에 대한 부분 (입장권 구입) 이 없고, 그냥 게임을 플레이하며 자연스럽게 EARN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이긴 하다. 다만 NFT 구입을 통해 후속 유저들에게 비용을 전가하는 방식이 없을 뿐 랭킹을 통해서 수익이 달라지기 때문에 인앱 결제 경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는 인앱 결제 수익 자체를 토크 노믹스와 많이 연결시켜서 무돌 조각의 소비를 최대한 일으키는 편이 좋았을 거라 생각한다. 무돌 2의 수익화 과정에 대해 가보자고 ~
무한돌파 삼국지 2 : EARN 하는 과정
MUDOL2 토큰을 게임에서 얻는 방법은 먼저 무돌 조각을 게임 플레이를 통해 얻어서 공식 홈페이지의 SWAP 시스템을 통해 토큰으로 교환하는 것이다. 고로 수익을 얻는 모든 과정이 '무돌 조각'을 얻는 것에서 시작된다. 무돌 조각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은 첫 번째로 일일 임무를 모두 클리어한 후 특수임무를 완료하여 획득한다. 12 레벨 / 4-10 스테이지 달성 / 일일 미션 모두 클리어 3가지 조건을 모두 수행하여 특수임무를 받을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결투장 , 토벌전 , 무한돌파 3가지 모드에서 상위 순위에 랭크되어 주간 순위 보상으로 무돌 조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부분이 EARN을 위한 메인 콘텐츠이며 이 랭킹을 위한 레벨링 , 무장 경쟁이 무돌 조각을 소비시키는 핵심이다. 해당 방법들로 무돌 조각을 모아서 $MUDOL2 토큰 스왑을 통해 수익화를 할 수도 있지만, 더 큰 수익(랭킹 보상)을 위해서 게임 내 상점에서 조각을 사용할 수 있다. 무돌 조각 상점에서는 기간 한정 및 상시 판매 아이템들을 구매할 수 있고, 우리의 영원한 장군님 7 성관 우 장군님도 1번에 한해서 구매할 수 있다. * 조각 <-> 토큰 교환 이렇게 만든 무돌 조각을 공식 홈페이지 Exchange 탭에서 $MUDOL2 토큰으로 교환할 수 있다. (그 후에 무돌 2가 상장한 후오비와 MEXC 같은 CEX로 보내서 매도하면 수익화 끝) 해당 교환에는 한도가 정해져 있으며 KOREA 1 서버는 2,000개 KOREA 2 , ASIA1 서버는 500개의 최소 교환 신청 수량이 있다. (점진적 완화 예정) 최대한도 역시 정해져 있으며 계정당 250개로 시작하여 총 1,000개까지 늘어난다. 교환 비율은 일정 수량 발행되어 누적된 토큰의 수량과 게임 내 유통되어 누적된 무돌 조각의 수량으로 결정되며 매일 특정한 시간에 갱신되어 보인다. 게임 서비스가 지속됨에 따라서 교환비율의 높낮이에 따라서 유저들이 $MUDOL2로 무돌 조각을 교환하게끔 하는 니즈를 발생시키는 게 목적이다. 다만 이런 메커니즘을 차용한 게임들은 꽤 있었는데, 수익화 유저들을 이기려면 게임이 무지무지 재미있거나 재미있거나 재미있어야 할 것이다. 조각을 $MUDOL2로 교환하는 수수료는 3%로 책정되며 수수료는 생태계 유지 비용으로 다시 사용된다. ($MUDOL2 -> 조각에는 수수료가 없다)
토크 노믹스 및 스테이 킹
$MUDOL2의 발행량은 500,000,000개. 주의해야 할 점은 플레이 투언, 다오 크리에이터 리워드 , vMETA 리워드 모두 3년 베스팅이고 팀 물량은 1년 락업 + 3년 베스팅인데 프라이빗세일(10%) , 어드바이저(3%) 의 물량이 6개월락업 1년 베스팅이다. 만약 6개월만 유지한다고 하더래도 P2E 치고 잘 살아남은 편이지만 6개월이 될 때 토큰 가격 망가질 확률 충분히 있다. $MUDOL2 토큰 스테이킹 시스템도 공식홈페이지에서 지원한다. 그리고 락업 기간에 따른 vMUDOL 토크 노믹스가 존재한다. 120일 , 240일 , 360일 락업에 따라 1 , 2 , 4 배수의 vMUDOL을 받는다. 거버넌스 투표권 역시 1, 2, 4배 수로 얻는 것인데 이 거버넌스가 캐주얼한 모바일 게임에서 어떻게 작용할지 모르겠다. (애초에 거버넌스가 유의미할 정도의 프로토콜이나 게임 몇 개 있지도 않다.) vMUDOL이 그나마 있는 매리트는 인게임에서 사용된 무돌 조각을 $MUDOL2로 스왑 하여 스테이 커들에게 분배를 한다는 것? 매일 00:00KST에 누적된 무돌 조각을 토큰으로 교환하여 47.5%를 무돌 스테이커들에게 배분한다.
'엘러모어의 비트코인, nft 호재, 주식, 메타버스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돌2, 슈퍼워크, 메셔 주간 투자일기 NFT 일정 (1) | 2022.07.26 |
---|---|
크립토 윈터(하락장) 데이터, 조언, 이슈 (0) | 2022.07.25 |
슈퍼워크 SUPERWALK M2E 토큰 분배에 대한 고민 (0) | 2022.07.25 |
마지막 클레이튼 디파이2.0 네버랜드 청산 결정 (0) | 2022.07.14 |
JP모건, 웰스파고, 뱅크오브아메리카 주가 배당금 비교정리 (0) | 2022.07.14 |